[스크랩] 추사체(秋史體) 성립(成立)(3) 한편 청에서는 앞에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고증학의 발전 결과 <사고전서총목제요(四庫全書總目題要)>의 편찬(1773~1782)으로 전기 고증학이 일단 정리되는 건륭(1736~1795)후반기로부터 당시 연경학계의 태두로 문호가 극성하던 옹방강이 학예일치를 주장하고 비문의 서체연구를 통해 예.. 카테고리 없음 2017.07.09
[스크랩] 추사체(秋史體) 성립(成立)(3) 한편 청에서는 앞에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고증학의 발전 결과 <사고전서총목제요(四庫全書總目題要)>의 편찬(1773~1782)으로 전기 고증학이 일단 정리되는 건륭(1736~1795)후반기로부터 당시 연경학계의 태두로 문호가 극성하던 옹방강이 학예일치를 주장하고 비문의 서체연구를 통해 예.. 카테고리 없음 2017.07.09
[스크랩] 추사체(秋史體) 성립(成立)(2) 우리나라도 사정은 비슷하다. 통일신라문화 극성기와 고려문화 극성기에 귀족적 취향과 함께 유행하던 왕희지체는 원지배시대 이후 만권당(萬卷堂)에서 조맹부의 영향아래 중국문화를 직수입하면서부터 송설체로 직접 바꾸어 가는데 이 만권당에서 길러진 신진 성리학자 계열들이 장차.. 카테고리 없음 2017.07.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