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스크랩] 祭祀床 위에 3實果의 敎訓 祭祀床 위에 3實果의 敎訓 대추 ( 棗 ) 밤 ( 栗 ) 감 ( 枾 ) 곶감 제사를 모실 때 보면 가가례(家家禮)라는 말이 있듯시 제수를 진설하는 방식은 지역마다, 집집마다 조금씩 다르다. 일반적으로 과일로는 오색 또는 삼색을 쓰는데,우리나라 사람들이 중요하게 치는 덕목 중의 하나는 아무리간.. 카테고리 없음 2014.08.13
[스크랩] 유일(柔日)과 강일(剛일)이란? 유일(柔日)과 강일(剛日) 재우는 초우를 마치고 첫번째 柔日 (乙,丁.己.辛,癸)에 지내는 제사이다. 삼우는 재우를 마친 첫번째 剛日 (甲,丙,戊,壬,庚)이 삼우날인것이다. 우제(虞祭) 우제란 초우(初虞), 재우(再虞), 삼우(三虞)를 통틀어 일컫는다. ‘우(虞)’란 위안한다는 뜻으로 사자의 신령.. 카테고리 없음 2014.08.13
[스크랩] 축문 수축(修祝) & 읽기 독축(讀祝) 축문 수축(修祝) & 읽기 독축(讀祝) 축문을 쓰는 것을 수축(修祝)이라 한다. 선조나 부모의 제사에는 반드시 독축(讀祝)을 해야 한다. 독축을 하지 않고 제사 지내는 것은 예법에 어긋난다. <수축과 독축의 사례> 가령, 김해김씨 양민씨가 9월21일(음 8월11일 무오) 어머니 밀양박씨 제.. 카테고리 없음 2014.08.10